ECE 유아교사 자격증 과정
페이지 정보
작성자 관리자 댓글 0건 조회 39회 작성일 19-10-23 05:48본문
ECE 란 Early Childhood Education의 약자로 유아교육학 입니다.
유아/보육교사는 현재 맞벌이가정이 늘어남에따라 한국 뿐만 아니라 캐나다에서도
부족직업군인 분야입니다.
캐나다 보육교사 자격증 취득방법
▷한국에서 유아교육학과-> 캐나다 ECE자격증 취득
▷캐나다 유아교육전공 -> 자격증 취득
캐나다는 주 별로 요구조건, 레벨 등이 다르기 때문에 취업을 위해서는 주(Province)마다 따로 발급되는 자격증을 취득해야 그 주에서 취업이 가능합니다.
예를들어 BC주에서 일 하고 싶다면 BC주의 자격증을 취득해야하고
SK주에서 일 할거라면 SK주의 자격증을 취득해야합니다.
한국학위를 인정하여 자격증을 발급해주는 주는
BC주,사스카츈(SK)주,알버타주,온타리오주,노바스코샤주,유콘주,매니토바주 등이 가능하며
국내에서 자격증 수령이 가능합니다.
자격증 교환이 가능한 학과
-유아교육과
-아동학과
-교육학 관련 수업 부전공 또는 복수전공
-사회복지학과
-간호학과
-교육학 관련 졸업자
-가정학과
-심리학과 관련 졸업자
-약학과
-재활학과
*해당학과를 졸업했다고 해서 무조건 자격증 변환이 가능한 것이 아니라
주 별 자격증 요건에 해당하는 수업을 이수한 성적증명서가 있어야 합니다.
BC주의 경우 총 4개의 레벨로 나뉘어져있고 레벨별 이름은 아래와 같습니다.
ECE Assistant, ECE Educator, ECE Educator &Special Needs Educator, ECE Educator & Infant Toddler Educator
ECE Assistant는 보조교사이며 BC주 ECE에서 가장 기초레벨입니다.
ECE Educator(Basic)는 일반적으로 유아교육을 전공한 분들이 자격증 교환시 받을 수 있는 레벨로
가장 보편적으로 취득하는 레벨의 자격증입니다.
Special Needs Educator(특수아동)와 Infant Toddler Educator(영유아)는 ECE자격증이 있는 분들이 500시간 이상의 경력,수업 등을 마친 후 받을 수 있는 자격증이며 해당 레벨 자격증을 취득 할 경우
케어할 수 있는 아동의 범위가 넓어지기 때문에 구직활동에 더 좋은조건을 갖출 수 있습니다.
하지만 BC자격증 교환을 위해서는 500시간의 실습확인서가 필요하고
한국 학위과정에서는 500시간의 실습이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사실상 BC주 자격증 교환은 불가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.
현실적인 BC주 자격증 취득방법
▶다른 주 자격증으로 교환->BC주자격증으로 다시 교환
▶BC주 유아교육학과 졸업
다른 주 자격증->BC주 자격증
자격증교환이 보다 쉬운 주는 SK(사스카츄완)주로
유아교육관련 수강과목 영문성적표(WES 학력인증)가 있다면 신청가능 합니다.
SK주 자격증을 발급받기까지는 약 3~4개월이 소요되고
SK주 자격증에서 BC주 자격증으로 교환하기까지는 약 2~3개월이 소요됩니다.
BC주 유아교육학과 졸업
BC주에서 유아교육학을 전공할 경우 다른 자격증 변환과정없이 바로 BC주 자격증을 딸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.
BC주에서 국제학생이 유아교육전공으로 갈 수 있는 학교는
공립학교와 사립학교가 있습니다.
공립학교 - Capilano University
<장점>
-졸업 후 3년짜리 PGWP발급 가능
-로컬학생이 많아 영어실력 향상가능
<단점>
-로컬학생이 많아 수업을 따라가기 힘들 수 있으며 경쟁에서 밀려날 수 있음
-공인영어성적 (IELTS,TOEFL)제출이 필수
-입학일이 1년에 2번만 있고 경쟁률이 높아 입학신청을 적어도 반년전에는 미리 해야함
-디플로마 과정만 있어 사립학교보다 프로그램기간이 길다
사립학교 - Sprott Shaw College
<장점>
-Certificate과정도 있어 1년이내로 졸업가능
-PGWP가 안되지만 프로그램기간중 Off-Campus로 주 20시간 일 할 수 있음
-시작 후 3달내에 보조교사 자격증 취득가능
-시작일이 매달 있어 원하는 시기에 시작 가능
-공인영어성적 없이도 학교 자체시험으로 입학가능
<단점>
-국제학생 비율이 많음
-졸업 후 PGWP발급이 불가능하여 고용주를 찾아 LMIA를 지원 받아야 함
공립학교 졸업 시 최대 3년의 PGWP를 발급받을 수 있어
영주권을 신청하기위한 조건 중 하나인 캐나다 경력1년을 채우기에 좋지만
프로그램기간이 길고 수업료가 비싸기 때문에 이런저런 장단점을 따져
사립과 공립학교 중 선택하는것이 좋습니다.
EWC에서는 한국학위로 ECE자격증 변환하는것 부터
캐나다 현지 유아교육학과 입학까지도 성심성의껏 도와드리고 있습니다 ^^
자세한 문의는 카카오채널: ewcvan 혹은 E-mail: academic@granus.ca로 문의 해 주세요 :)
댓글목록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